본문 바로가기

2025년 최저시급 월급 계산, 다른 나라들의 최저시급은

스타트업 알쏭 2024. 11. 30.

2025년 한국의 최저시급이 10,030원으로 결정되었는데, 이는 2024년의 9,860원에서 170원, 약 1.7% 인상된 금액입니다. 이번 인상은 최저임금 제도 도입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인상률이지만, 최저시급이 처음으로 1만 원을 넘었다는 점에서 큰 상징적 의미를 갖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

 

2025년 최저시급 인상의 배경과 의의

2025년 최저시급은 170원 인상되어 10,030원이 되었는데, 이번 인상률은 1.7%로 최근 몇 년간의 인상률 중에서도 낮은 편이지만, 최저시급이 처음으로 1만 원을 넘어섰다는 점에서 노동계의 오랜 요구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인상으로 하루 8시간 근무 시 일당은 80,240원이 되며, 주 5일 근무 시 주급은 481,440원, 월급은 약 2,096,270원이 됩니다. 그러나 물가 상승과 생활비 부담을 고려할 때, 많은 노동자들이 여전히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은 크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노동계와 일부 시민 단체는 더 큰 폭의 인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시급, 월급 계산기 바로가기

 

최저시급 인상에 대한 사회적 반응

최저시급이 1만 원을 넘어선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는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희망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인상률이 낮아 실질적인 소득 증가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물가 상승을 감안했을 때 저소득층의 생활 여건이 크게 개선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은 이번 인상이 경영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영세 사업체의 부담이 커질 수 있고, 이는 고용 축소나 근로시간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다른 나라 최저시급 비교

한국의 최저시급은 국제적으로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다른 나라들의 최저시급에 대해 살펴보면

 

 

2024년 기준으로 한국의 최저시급은 약 10,030원, 즉 7.50달러에 해당합니다. 미국의 연방 최저시급은 7.25달러로 한국보다 낮지만, 주마다 상이하며 캘리포니아 같은 일부 주에서는 15.50달러로 한국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최저시급은 11.00파운드(약 17,000원), 독일은 12.00유로(약 16,000원)로 한국보다 높으며, 일본은 1,013엔(약 9,000원)이지만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최저시급이 국제적으로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한국의 최저시급은 경제 규모와 물가 수준을 고려할 때 중상위권에 해당하며, 노동자들의 생활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영국이나 독일처럼 생활비가 높은 국가와 비교했을 때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한 월급 계산 방법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월급을 계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주당 40시간, 주 5일 근무를 기준으로 했을 때 주급은 401,200원이 되며, 이를 월평균 주 수인 4.345로 곱하면 월급은 약 1,740,000원이 됩니다.

 

 

이러한 계산은 근로 시간과 주당 근무 일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세금 및 공제를 고려하지 않은 금액입니다. 실제 지급되는 금액은 소득세, 4대 보험 등 여러 공제 항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이 인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월급에서 공제되는 금액이 많기 때문에 많은 노동자들은 여전히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최저임금 인상만으로는 생활 수준을 크게 개선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의 결정은 노동계의 오랜 요구가 반영된 결과로, 한국 최저임금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됩니다. 그러나 인상률이 낮아 실질적인 소득 개선 효과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한계도 분명합니다.

최저시급 1만 원 시대의 도래는 긍정적인 변화이지만, 생활비 상승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많은 노동자들이 여전히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은 사회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댓글